OKX 현물거래


OKX에서는 선물(Futures)뿐 아니라 다양한 종목이 존재하는 현물(Spot) 거래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OKX 거래소에서 현물거래를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현물거래 시작

OKX 어플 하단의 거래(Trade)를 두 번 클릭 → 현물(Spot)을 선택합니다.

OKX에서 거래(Trade) 버튼 클릭

OKX에서 처음 현물거래를 시작하면 기본 종목이 비트코인-테더 페어(BTC/USDT)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종목 변경을 위해 해당 페어를 클릭합니다.

종목 변경 클릭

저는 파클(PRCL)로 거래해 보겠습니다.

파클의 심볼명 PRCL을 입력하고 현물 거래(Spot trading) 하단에 있는 파클-테더 페어(PRCL/USDT)를 선택합니다.

종목 선택란에 파클(prcl)입력 및 선택

주문 방식을 설정합니다.

종목 변경 선택

OKX는 현물거래에 대해 8개의 주문 방식을 지원하고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정가 주문(Limit): 원하는 가격을 지정하여 매수, 매도 주문을 신청합니다. 해당 종목이 지정된 가격에 도달하면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 시장가 주문(Market):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최선의 가격으로 즉시 거래를 진행합니다. 가격을 직접 지정하지 않으므로 주문을 신청하는 시점에 따라 체결 가격이 달라집니다.
  • 이익 실현 및 손절매 주문(TP/SL): 설정한 특정 목표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익절하고 특정 손실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손절합니다.
  • 고급 지정가 주문(Advanced Limit): 지정가 주문에 포스트 온리(Post Only, 제출한 주문은 지정가로만 이행됨), IOC(취소 주문은 즉시 시행되며 채워지지 않는 주문도 즉시 취소됨), FOK(Fill or Kill, 전체 주문이 시행되거나 취소됨) 조건을 추가 할 수 있는 주문입니다.
  • 트레일링 스탑(Trailing Stop Order): 목표 가격에 도달해도 익절하지 않으며 설정한 만큼의 하락 비율이 발생하지 않는 한 포지션을 계속 유지합니다. 즉 이익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한 주문입니다.
  • 트리거 주문(Trigger): 감시 가격을 설정하고, 감시 가격에 도달하면 지정가 또는 시장가 주문을 신청합니다.
  • 아이스버그 주문(Iceberg): 주로 마켓 메이커에서 적합한 대규모 매수 방법으로, 매수가 체결되는 시점에만 오더북(호가창)에 물량이 표시됩니다.
  • TWAP(Timed Weighted Average Price): 일종의 그리드 주문과 비슷한 방식으로 일정한 기간을 설정하고 그 기간 동안 자동으로 포지션을 분할 매집합니다. 분할로 포지션을 개설하기 때문에 가격 변동에 영향이 적고 안정적입니다.
주문 방식 설명

게이지를 올려서 수량을 설정합니다.

그리고 파클 매수(Buy PRCL) 버튼을 클릭하면 파클이 매수됩니다.

수량 설정

하단 자산(Assets)에서 매수한 파클(PRC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수된 자산 선택

매수한 코인 매도

판매(Sell) 버튼을 클릭하면 매도로 전환됩니다.

매수와 마찬가지로 수량을 조절하고 파클 매도(Sell PRCL)를 클릭하면 자산이 매도됩니다.

현물 매도

이상으로 OKX 현물거래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